공유하기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병원소식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 박현ㆍ안희정 교수팀 유전자 분석으로 난소암 재발 전이 매커니즘 규명
2020.07.24
조회수 1564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 박현ㆍ안희정 교수팀
유전자 분석으로 난소암 재발 전이 매커니즘 규명


  • 원래 발생한 난소암 세포와는 달리 휴면 상태에서 생존해 전이나 재발하는 것 확인
  • 사망률 높고 전이와 재발률 높은 난소암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 열어
  • 일반적인 종양의 증식 기능과는 달리 줄기세포의 증식과 비슷한 양상 보여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김재화) 부인암센터 박현ㆍ안희정 교수팀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일반 난소암 조직과는 다른 난소암의 전이와 재발 매커니즘을 규명하고 줄기세포 특성을 기반으로 난소암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난소암 분야의 권위있는 국제 학술지 ‘Ovarian Cancer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

일반적인 난소암 조직에서는 세포의 증식과 주변과의 신호 교환이 활발한데 반해 전이 및 재발에 관여하는 난소암 세포는 세포주기와 신호전달체계가 억제돼 있고, 암세포 스페로이드 안에서 줄기세포의 휴면 상태처럼 유지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

암세포 스페로이드는 암의 전이와 재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암세포가 구형으로 모여 있는 집합체를 말하며 줄기세포가 다량 포함 돼 있는 조직이다. 원래의 암조직에서 떨어져 나온 암세포 스페로이드가 다른 기관에서 자라면 ‘전이’가 이루어지고 수술이나 항암 치료 후에 남아있던 암세포 스페로이드가 다시 자라면 ‘재발’이 된다.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 박현 교수팀은 전이와 재발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난소암 환자의 종양 조직에서 세포를 채취해 환자유래 난소암 세포 스페로이드를 만들었다. 이를 사용해서 전사인자를 포함하는 주요 유전자와 마이크로RNA의 발현 정도를 각각 측정했다.

분석 결과 전이나 재발에 관여하는 난소암 세포의 경우 원래 난소암 세포와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통 암세포는 세포의 증식과 주변과의 신호 교환이 활발한데 반해 전이나 재발된 난소 암세포 스페로이드는 세포주기와 신호전달체계가 억제돼 있었다. 대신 암세포의 유전자를 세심하게 조절하는 EGR1과 MYC, miR-130a-3p와 같은 전사인자들이 특이적인 양상으로 발현되어 있었다. 이 전사 인자들이 여러 유전자를 능동적으로 조절해 세포의 증식과 신호전달을 줄이고 있었다. 종양을 증식시킨다고 알려진 MYC는 저발현 되어 있고 종양을 억제하는 EGR1은 과발현되어 있었다. 이런 발현 방향이 줄기세포를 휴면상태로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난소암 세포 스페로이드는 줄기세포처럼 휴면상태에 들어가서 복수나 혈액에서 사멸되지 않고 생존해 ‘전이’를 일으키고 항암화학요법이 시작되면 휴면상태로 다시 들어가고, 견디어 내면 이후에 ‘재발’을 일으키는 것으로 예측했다.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 박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일반 난소암 세포와는 상당히 다른 특성을 보이는 세포에 의해 전이와 재발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난소암 세포에 대한 치료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며 “증식력을 억제하는데 중점을 두는 기존 치료법은 난소암의 전이와 재발을 막을 수 없기에 난치성 난소암 치료을 위해서는 줄기세포의 특징과 종양 주위의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로 전이와 재발의 비율이 60-70%에 달하는 난소암 치료에 새로운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분당차병원 부인암센터 박현 교수. 좌측 상단 QR코드(https://www.youtube.com/watch?v=fXBMLlobf48)를 스캔하면 박현 교수의 더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그림. 환자유래 난소암 스페로이드의 유전자 네트워크 분석 <사진출처: Ovarian Cancer Research 게재 논문>



안희정
안희정 교수
전문분야
산부인과, 분자병리, 소아 감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