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병원부서

수련과정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

수련목표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기본적인 지식과 술기를 습득하고 이를 통하여 기본자질을 함양하는 데에 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서 갖추어야 하는 소아청소년과 영역의 최신지견과 기술을 습득하여 독자적인 진료,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연차 수련 목표 수련 내용
1년차 최신 소아과 교과서 및 저널에 수록된 정보, 소아과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구에 대한 지식, 소아과에서 진행하는 기본 검사 이해와 처방 · 모든 술기 및 진료를 상급 전공의 이상의 감독 하에 시행한다.
· 신체계측, 체온, 혈압검사, 요추천자, 됴뇨, 주사(정맥, 근육, 피하, 피내), 채혈(모세관혈, 정맥혈, 동맥혈), 흡입요법, 심폐 소생술
2년차 고전적 소아과 문헌에 대한 이해, 각종 소아과 특수 검사 및 진료에 대한 정보 습득과 결과 해석, 예방접종에 대한 이해와 진료, 신생아 및 미숙아 대한 올바른 처치 및 진료 · 새로 습득하는 모든 검사 및 시술은 상급 전공의나 전문의 감독하에 시행한다.
· 다음과 같은 임상 검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뇌파(aEEG), 신생아 뇌초음파
· 미숙아 처치 및 채혈 및 진단, 안저검사, 골수천자, 흉강천자, 인공 환기요법, 제대육아종 처치, 간단한 외상 및 농양 등의 외과적 처치, 수혈, 위 세척, 광선 요법, 소독 및 멸균법
3년차 소아과 전분야에 걸친 필요한 지식 습득을 이해하고 심화시킨다. · 새로 습득하는 모든 검사 및 시술은 상급 전공의나 전문의 감독하에 시행한다.
· 기본 임상 검사를 심화시키고 교육 지도한다.
· 다음과 같은 임상 검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뇌파, 지능검사, 폐기능검사, 경피 신생검, 간생검, 소아 복부초음파
4년차 최신 및 고전 소아과 정보를 습득하고 독립적인 전문의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상황설정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새로 습득하는 모든 검사 및 시술은 전문의 감독 하에 시행한다.
· 다음과 같은 임상 검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소아 심장초음파
· 소아과 전문의가 되기 위한 모든 임상 검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연차별 교육 내용
연차 1년차 2년차 3년차 4년차 총계
환자취급범위 · 병실환자
(담당의로서)75명 이상(실인원)
· 병실환자
(담당의로서)75명 이상(실인원
· 육아상담 50명 이상
· 육아상담 또는 영유아검진 50명 이상
· 신생아,감염, 호흡기, 순환기,소화기영양,신장,신경,현액및 종양, 내분비 및 대사, 알레르기 및 면역분야별 최소 10명(1,2년차와 중복 불가능)
· 육아 상담 또는 영유아 검진 50명 이상
·외래 200명 이상(3~4년차 합계)
· 지도환자 (수석전공의로서 진료 지도한 환자)
· 입원 100명 이상
·외래 200명 이상(3~4년차 합계)
· 병실환자 250명 이상 + 지도환자 100명 이상
·외래환자 200명 이상(3~4년차 합계
· 육아 상담 또는 영유아 검진 100명 이상
교과내용 (1~3년차 수련기간 동안) 소아청소년과 진료에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특수검사·수기를 습득하게 함으로써,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서 활동하는데 필요한 전문적 능력을 함양케 한다 중환자실 또는 신생아 중환자실 근무 : 1개월 이상 응급실 근무 : 2개월 이상
수석전공의로서 입원환자 진료시 저년차전공의를 지도감독하며, 외래 진료를 독자적으로 완료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학술회의
참석
외부 2회 이상(대한소아과학회 학술대회 최소 1회 포함), 원내 50회 이상 외부 2회 이상(대한소아과학회 학술대회 최소 1회 포함), 원내 50회 이상 외부 2회 이상(대한소아과학회 학술대회 최소 1회 포함), 원내 50회 이상 외부 2회 이상(대한소아과학회 학술대회 최소 1회 포함), 원내 50회 이상 대한소아과학회 연수교육 2회 외부 8회 이상(대한소아과학회 학술대회 년 1회씩 최소 4회 포함) 원내 학술집담회 200회 이상 대한소아과학회 연수교육 2회(4년차)
학술회의
발표
전체 수련기간 동안 1편 이상의 연구결과를 대한소아과학회에 발표(구연, 포스터, 지상발표 포함, 제1저자)
논문 제출 전체 수련기간 동안 제1저자 원저 또는 중례1편
원내학술활동

case and Review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오전 7시40분에 최신 저널을 요약하여 발표한다.
전문의와 전공의들이 전원 참석하여 토의한다

  • 제 2 조 (목요 점심회의)

    매주 목요일 오후 12시 45분에 모여 흥미로운 환자와 중요한 환자들에 대해 소아과 전문의와 전공의 모두 참석한 상태에서 증례 관련 연관 교수님 (영상의학, 소아외과, 소아비뇨기과 등)을 모셔서 토의한다.
  • 제 3 조 (Pediatric Grand Round, PGR)

    매주 월요일 오후 5시 반에 정해진 주제를 가지고 강의를 듣고 토의한다. 외부 강사나 타과 교수님을 초빙하여 강의를 들을 수 있다.
  • 제 2 조 (목요 점심회의)

    매주 목요일 오전(학기 중에는 목요일 점심시간)에 중요하다고 여겨지거나 토론 거리가 되는 증례를 내걸고 관련 전문의와 전공의, 학생들이 토의한다.
  • 제 2 조 (목요 점심회의)

    매주 수요일 12시부터 오후 1시에 지도전문의와 전공의가 모여서 정해진 주제에 대해 book reading을 시행한다.
교육수련활동
  • 수련 관련 수상

    최우수교실상(2017) 최우수교수상(교육부문2017),최우수전공의상(2018), 최우수교수상(논문 2019)
  • HAPPY CHA CHA CHA Project

    Sub-fellowship program, 당직 개선, 논문, 통계 강좌
  • 소아청소년과 개원의 대상 연수강좌를 통한 대외 협력

    매년 실시 2019년 5차 시행
  •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 연수강좌

    매년 실시 -2019년 5차 시행
  • 소아수면 연수강좌 (8회/년)

    국내 소아청소년과 최초, 유일 개최 2011년부터 매년 지속
  • 대민 공개강좌/캠프

    소아청소년 당뇨 캠프 (매년 실시)
    소아수면 연수강좌 (매년 실시 )
    용인 지역 아토피 진료 지원 이른둥이 홈커밍의 날 (강남차)
    분당지역 호흡기 강좌 (보건소)
소아청소년과 동문 현황
  • 1995년부터 2020 현재까지
  • 전문의 90명 배출
구분 전문의 수련병원 개원/봉직의 기타(군의관 외)
인원 87명 15명 53명 19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