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차 |
최신 소아과 교과서 및 저널에 수록된 정보, 소아과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기구에 대한 지식, 소아과에서 진행하는 기본 검사 이해와 처방 |
· 모든 술기 및 진료를 상급 전공의 이상의 감독 하에 시행한다.
· 신체계측, 체온, 혈압검사, 요추천자, 됴뇨, 주사(정맥, 근육, 피하, 피내), 채혈(모세관혈, 정맥혈, 동맥혈), 흡입요법, 심폐 소생술
|
2년차 |
고전적 소아과 문헌에 대한 이해, 각종 소아과 특수 검사 및 진료에 대한 정보 습득과 결과 해석, 예방접종에 대한 이해와 진료, 신생아 및 미숙아 대한 올바른 처치 및 진료 |
· 새로 습득하는 모든 검사 및 시술은 상급 전공의나 전문의 감독하에 시행한다.
· 다음과 같은 임상 검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뇌파(aEEG), 신생아 뇌초음파
· 미숙아 처치 및 채혈 및 진단, 안저검사, 골수천자, 흉강천자, 인공 환기요법, 제대육아종 처치, 간단한 외상 및 농양 등의 외과적 처치, 수혈, 위 세척, 광선 요법, 소독 및 멸균법
|
3년차 |
소아과 전분야에 걸친 필요한 지식 습득을 이해하고 심화시킨다. |
· 새로 습득하는 모든 검사 및 시술은 상급 전공의나 전문의 감독하에 시행한다.
· 기본 임상 검사를 심화시키고 교육 지도한다.
· 다음과 같은 임상 검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뇌파, 지능검사, 폐기능검사, 경피 신생검, 간생검, 소아 복부초음파
|
4년차 |
최신 및 고전 소아과 정보를 습득하고 독립적인 전문의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상황설정에 따라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새로 습득하는 모든 검사 및 시술은 전문의 감독 하에 시행한다.
· 다음과 같은 임상 검사를 이해하고 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소아 심장초음파
· 소아과 전문의가 되기 위한 모든 임상 검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