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
가. 흉부외과 임상의로서의 기초지식 습득
나. 입원 환자 및 응급환자 치료에 대해 일차적 책임을 진다.
다. 흉관삽관술 및 이에 준하는 기초적 술기를 습득
라. 대수술 25 예를 포함한 수술 50 예 이상 참여
마. 수술기록지 작성 50 예 이상
바. 담당환자의 의무기록을 책임진다.
|
가. 흉부외과 분야의 각종 특수검사에 참여하고 결과판독을 습득한다.
나. 수술 후 환자의 집중치료에 대해 일차책임을 진다.
다. 환자치료에 적극 참여하고, 인턴 및 1 년차 레지던트를 지시 감독한다.
라. 흉부외과 영역의 소수술에 필요한 술기를 습득
마. 대수술 25 예를 포함한 수술 50 예 이상 참여
바. 수술기록지 작성 50 예 이상
사. 담당환자의 의무기록을 책임진다.
|
가. 인공심폐기 및 순환보조장치의 운용에 적극 참여한다.
나. 수술후 환자의 집중치료에 적극 참여한다.
다. 개흉술 및 이에 준하는 기초적 수술수기 습득
라. 대수술 25 예를 포함한 수술 50 예 이상 참여
마. 수술기록지 작성 50 예 이상
바. 담당환자의 의무기록을 책임진다.
|
가. 최고년차 전공의로 인턴 및 하급 전공의를 감독, 지식하고, 스탭을 보좌한다.
나. 응급개흉술을 포함한 수술 10 예 이상 시행.
다. 대수술 25 예를 포함한 수술 50 예 이상 참여.
라. 수술기록지 작성 50 예 이상.
마. 담당환자의 의무기록을 책임진다.
|
세부 교육 내용 |
(1) Hemostasis, Wound healing, Nutrition, Shock,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2) Anatomy and Physiology of Heart, Lung, Mediastinum and Esophagus
(3) Interpretation of EKG and Echocardiogram results
(4) Anomalies and Diseases of Heart, Lung, Esophagus and Mediastinum
(5) Cardiovascular pharmacology
(6) ICU management
(7) Ventilator care in ICU patient
(8) Central venous catherization, Thoracentesis, Closed Thoracostomy 등의 시행 및 관리
|
(1) 심장 수술 중 심근 보호 방법
(2) 다양한 심질환의 병태생리
(3) 의학 통계, 의학 논문 작성법
(4) Immediate postoperative physiology after heart, lung and esophagus surgery
(5) 수술 직후 환자의 ICU care에 대한 지식
(6) Surgical anatomy of heart, lung, and esphagus
(7) 관상동맥우회로술, 심장판막수술, 폐질환의 수술 방법
(8) 관상동맥 조영을 포함한 흉부외과 각 분야의 특수 검사의 판독
(9) 심폐기에 대한 이론 학습
(10) Swan-Ganz catheter를 삽입술 및 혈역학적 평가.
|
(1) 흉부외과 분야의 각종 특수 검사와 심폐기의 체외순환 운영에 참여한다.
(2) 다양한 선천성 심질환의 병태생리
(3) 혈관 외과 수술 방법
(4) 수술 중 환자의 관리
(5) Sternotomy나 thoracotomy의 집도
(6) Harvesting of the saphenous vein and radial artery
(7) IABP의 적응증 및 관리
(8) Tracheostomy
(9) 기관지 내시경 교육
|
(1) 선천성 심장 질환의 이해 및 수술 방법
(2) 복잡 심기형의 수술 방벙
(3) ECMO의 적응, 설치, 및 관리
(4) 혈관 외과 수술 방법
(5) Tranplantation immunology
(6) 식도 초음파 및 경식도 초음파 교육
(7) 상부 위장관 내시경 교육
|
교육 |
· 인턴의 교육 및 감독을 책임진다.
|
· 인턴 및 1년차 수련의의 교육 및 지도.
|
· 인턴, 1, 2년차 레지던트의 지시감독을 한다.
· 임상실습학생을 지도, 교육한다.
|
· 인턴, 1, 2, 3 년차 레지던트의 지시감독을 한다.
· 임상실습학생을 지도, 교육한다.
|
학술회의 참석 |
· 원내 50 회 이상, 외부(집담회 수준 이상) 2 회 이상
|
· 1 년차와 동일
|
· 원내 50 회 이상, 외부(집담회 수준 이상) 3 회 이상.
|
· 3 년차와 동일
|
논문제출 |
|
· 증례의 제1 저자, 또는 임상연구논문 공저자로 1 편 이상
|
· 증례의 제 1 저자 2 편, 또는 임상연구논문 제 1 저자로 1 편 이상.
|
· 증례의 제 1 저자 2 편, 또는 임상연구논문 제 1 저자로 1 편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