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및 내용
|
[목표]
신경과 의사로서의 기본적인 지식과 응급환자의 취급능력을 함양하고 임상의로서 환자진료의 능력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내용]
1. 일반 신경학적 문진, 신경학적 검사 및 검사실 소견의 해석능력을 습득
2. 기초적인 신경해부 및 신경생리 지식습득(각종 강의, 학술지 초록회 주제 발표, 학술서적 발표 등에 정기적으로 참여하여 신경학의 기초분야, 임상판단 및 치료에 관한 최신지견을 소화)
3. 일반진료수기의 습득(의식혼수 환자의 응급처치, 두개강내압 항진의 치료, 회진이나 증례연구, 진단에 이르는 진료과정의 습득, 치료기술, 일반 신경방 사선과학)
4. 입원환자의 진단 및 치료업무5. 진정치료 및 모니터링
|
[목표]
신경과 의사로서 필요한 모든 진단 및 치료기술을 향상하며 지식을 습득하여 신경과 질환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을 둔다.
[내용]
1. 입원환자의 진료를 계속하며 1년차의 1-5항을 계속한다.
2. 신경방사선학, 신경약리학, 신경전기생리학에 대한 지식을 각 분야의 전문가 들과 협조하여 학습하며 타 인접분야(내과, 정신과, 신경외과)의 임의선택 수련을 권장하고 타분야의 신경과 질환의 관계를 수립한다.
3. 상급자 혹은 전문의 지도 아래 학술연구 및 발표에 참가한다.
4. 후반기에는 외래환자 진료를 담당할 수 있다.
5. 진정치료 및 모니터링
|
[목표]
신경과 전공의로써 2년간 환자를 통해 얻은 지식을 재정립하며 신경과의 각 특수검사의 이해 및 습득에 주력하며 연구 및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가한다.
[내용]
1. 1년차와 2년차의 2번째와 3번째 항은 계속한다.
2. 지도교수의 책임 하에 신경과 영역의 특수검사를 습득한다. 즉, 뇌파실, 근전도실, 유발전위실, 신경학연구실을 3개월씩 근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외래환자에 대한 업무을 담당하고 그 처지를 익힌다.
4. 지도전문의 혹은 고년차 전공의의 학술연구에 참여하여 신경학적 연구 방법론을 익힌다.
5. 진정치료 및 모니터링
|
[목표]
수석전공의이며 병실에서 환자진료의 책임자로서 하급전공의와 학생임상실습을 지도 감독하여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내용]
1. 수석전공의로서 하급전공의의 입원 및 외래환자의 진료에 관한 사항을 총괄, 지도 감독한다.
2. 병실의 수석의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외래환자진료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3. 신경학의 각 특수분야 중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최신 지견을 습득하고 지도교수 혹은 전문의 지도아래 학술 연구를 수행한다.
4. 진정치료 및 모니터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