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뇌신경재활, 소아재활, 암재활, 림프부종 재활
|
척수재활, 신경근육재활, 통증 및 근골격재활, 암재활, 호흡재활
|
뇌신경재활, 소아재활, 신경근육재활, 통증 및 근골격재활, 전기진단학
|
뇌신경재활, 소아재활, 척수재활, 신경근육재활
|
목표 및 내용
|
[목표]
재활의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재활 평가와 환자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기법을 함양한다.
[내용]
1. 입원환자 진료 참여
2. 의무기록 작성
3. 재활의학적 기본평가
4. 재활 인지평가 및 심리평가
5.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 재활치료에 대한 원리 및 실기 습득
|
[목표]
임상평가능력을 증진하며, 재활관련 검사의 시행과 검사 결과를 판독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내용]
1. 입원환자 회진 및 환자 평가, 진료 참여
2. 재활치료의 처방능력 습득
3. 근전도 참여 및 판독능력 습득
4. 삼킴 장애 검사 등 재활관련 검사의 참여
5. 타과의뢰환자의 진료 수행
|
[목표]
관련의학 분야를 포함한 폭넓은 수련 및 임상술기 교육을 통해 독자적인 평가와 치료 수행능력을 기른다.
[내용]
1. 입원환자 회진 및 환자 평가, 진료 참여
2. 근골격계 초음파검사를 이용한 진단 및 중재적 시술 습득
3. 재활의학 특수 클리닉 참여 및 훈련
4. 임상 각과의 진료의뢰에 대한 수행
|
[목표]
특수 재활의학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관리능력을 갖추게 하며, 전공 의 및 치료사, 간호사의 교육, 임상 각 과와의 협진 능력을 기른다.
[내용]
1. 입원환자 회진 주도
2. 각종 임상회의 주도
3. 임상연구수행
4. 장애진단서(장애평가) 작성 습득
5. 재활정책 및 사회봉사활동 참여
|
주요 술기
|
신경학적 검사, 환자 기능평가, 비디오투시연하검사
|
전기진단검사, 주사치료 등 통증시술
|
전기진단검사, 비디오투시연하검사, 초음파 시행 능력
|
전기진단검사 초음파 통증 시술, 운동점 차단술, 장애진단서
|
연구 |
임상연구계획서 작성 및 연구 관련 업무 집중 시행, 수련 기간 동안 원저 논문 1회 이상 출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