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안과

사시와 약시 클리닉

사시
사시란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시력 장애입니다. 소아에게 사시가 발병할 경우에는 사물이 겹쳐 보이는 복시, 돌아간 눈을 사물의 인식에 사용하지 않게 되는 억제, 약시, 이상 망막 대응(망막에 정확히 상이 맺히는 것이 아니라 황반의 주변부에 맺힌 상을 뇌에서 정상으로 받아들이게 됨), 중심 외 주시 등의 여러 가지 감각 이상이 발생하게 되며, 성인이 되어 발병한 경우에는 복시를 호소할 수 있습니다.
사시의 종류 및 치료
가성내사시
가성 내사시 증상
가성 내사시 증상
실제 사시가 없지만, 외형상 사시처럼 보이는 경우입니다. 아기들은 콧잔등이 낮고 눈과 눈 간격이 멀기 때문에, 안쪽 눈구석의 피부가 흰자를 가리게 됩니다. 마치 내사시처럼 보여서 병원에 내원하지만 대부분 정상이며, 성장과 더불어 콧등이 높아지고 피부주름이 안쪽으로 당겨져 정상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특별히 치료를 요하지는 않습니다.
영아 내사시
유아 내사시 증상
유아 내사시 증상
출생 후 6개월 이내에 발견되는 사시로 한쪽 눈이 심하게 안으로 몰려 있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큰 사시각도가 관찰되며 눈 기능 발달(정상 양안시)을 위해서 빠른 수술이 필요합니다.
조절성 내사시
내사시
원시로 인한 조절성 내사시 증상
교정
원시 안경으로 사시가 교정된 모습
조절성 내사시는 조절능력(Accomodation)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내사시를 말합니다. 심한 원시가 있는 경우 물체가 선명하게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아기들은 수정체간 과도한 조절을 하는 노력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눈이 안쪽으로 몰려 내사시로 진행됩니다. 조절마비제에 의한 조절마비굴절 검사 이후에 원시의 정도를 측정하여, 이를 교정시켜 주는 안경을 쓰게 하는 것이 치료입니다. 대개는 적절한 안경 처방 및 규칙적인 안경 착용으로 치료가 되지만, 눈이 성장한 이후 성인에서도 내사시를 보이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간헐성 외사시
좌안으로 주시한 경우
오른쪽 눈이 돌아간 모습 (좌안으로 주시한 경우)
우안으로 주시한 경우
왼쪽 눈이 돌아간 모습 (좌안으로 주시한 경우)
간헐성 외사시는 졸릴 때나, 피곤할 때, 감기나 열이 있을 때 가끔씩 아이들의 한쪽 눈이 바깥쪽으로 돌아가는 외사시를 말합니다. 눈부심 때문에 아이들은 한쪽 눈을 비비거나 찡그리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비수술적 치료로는 한계가 있으며, 사시각이 클 경우에는 조기에 수술해야 하지만 대개는 만 4세 이후에 수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사시 수술과 더불어 지속적인 시기능 훈련이 필요합니다.
이상두위
마비 사시나 특수형 사시, 혹은 안구가 정상적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 아기들이 고개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물이 둘로 보이기 때문에 좀 더 잘 보이게 하기 위한 행동입니다.
안진(안구 떨림증)을 보이는 아기들은 눈이 덜 떨리는 방향으로 물체를 보기 위하여 머리가 돌아가게 됩니다. 이는 미용상으로 좋지 않으며, 경부와 안면의 근육 발달에도 영향을 주며 얼굴 형태에도 변화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시를 교정하는 것이 이러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성인사시
당뇨병이나 갑상선 같은 내분비 질환, 중증 근 무력증 같은 자가면역 질환, 고혈압 같은 전신적 질환, 눈이나 머리에 외상을 입었거나 뇌경색 등의 뇌 질환이 있는 경우 성인에서 갑자기 사시가 올 수 있습니다.
주로 복시(한 물체가 두 개로 보이는 것)를 호소하며 병원에 내원하는데 스테로이드, 보톡스, 수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합니다.

※ 사시의 치료에는 약물이나 안경과 같은 보전적 치료와 수술과 같은 침습적인 치료가 있습니다. 원인이나 치료시기 등을 고려하여 치료하는데, 수술 후 교정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사시나 약시가 재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합니다.

약시
약시는 소아에서 나타나는 교정 시력 저하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유병률은 약 2~2.5% 정도 입니다. 안경으로 교정을 하여도 정상 시력이 나오지 않으며 Snellen 시력표에서 두 눈의 시력이 두 줄 이상 차이를 보이지만, 특별히 안구나 안저소견상 이상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원인으로는 선천성 백내장, 사시, 안검하수, 양쪽 눈의 굴절 상태가 다른 경우 등이 있습니다. 단순히 시력이 저하 될 뿐만 아니라 억제현상, 양안시, 입체시의 소실 등과 같이 눈 기능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약시의 가림치료 모습
약시의 가림치료 모습
치료는 시력 발달이 떨어지는 눈을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잘 보이는 눈을 가려주는 것입니다. 많은 아이들이 거부감을 보이고 힘들어 하지만, 환자와 부모 그리고 주위 사람들의 꾸준한 배려가 있어야 성공하는 만큼 끈기 있게 치료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