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블로그 카카오톡

안과

나이관련 황반변성 클리닉

나이관련 황반변성이란?
황반이란, 우리 눈 뒤쪽에 위치한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망막이라고 하는 신경조직의 중심부위를 말합니다.
이곳에는 빛 자극에 반응하는 중요한 세포가 밀집되어 있어서 중심시력을 담당합니다. 주로 50세 이상의 고연령층에서 황반부에 드루젠이라고 하는 침착물들과 다양한 형태의 변성이 오는 질환인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65세 이상의 노인층에서 실명을 초래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질환이 상당히 진행하기 전까지는 특별한 증상이 없어 본인에게 병이 생겼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형태는?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건성과 습성의 두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건성 황반변성은 망막 밑에 드루젠이나 망막색소상피의 위축과 같은 병변이 생긴 경우를 말하며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진행이 느리지만 오랜 기간이 지나면 시력상실의 정도가 심해지고 습성 황반변성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건성 황반변성의 진행된 형태인 ‘지도형 위축’은. 점차 드루젠의 크기가 커지고 망막 밑의 노폐물이 축적되면 망막이 고립되고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을 받을 수 없게 되어 스스로 위축되는 것으로 심각한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습성 황반변성은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약 10%를 차지하며 망막 아래에 맥락막 신생혈관이 자라는 경우입니다. 진행이 빠르며 이러한 신생혈관은 약하고 터지기 쉬워 우리 눈에서 가장 중요한 황반부에 삼출물, 출혈 등을 일으켜서 중심시력을 떨어뜨리고 실명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습성 황반변성
습성 황반변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증상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초기 증상으로는 글자나 직선이 구부러져 보이는 변형시와 중심암점이 있습니다.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거나 전혀 안보이는 작은 부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
나이관련 황반변성이 완치가 어려운 안과 질환임은 분명하지만 다른 질병들과 마찬가지로 조기에 발견하면 조금이나마 위험인자를 줄일 수 있고, 발병 후에라도 잘 관리하면 시력저하 속도를 최대한 늦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60세 이상이면서 중심시력에 변화가 있다면 안과를 방문하여 진료와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1~2년에 한번씩 정기적인 안과검사를 통하여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암슬러 격자검사를 통해 자가진단을 해볼 수 있습니다. 한눈을 가리고 한눈씩 중앙에 위치한 검은 점을 보면서 격자무늬가 휘어지거나 선이 보이지 않는다면 황반변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나이관련황반변성이 의심되면 안과에 내원하여 안저검사, 빛간섭단층촬영술과 형광안저혈관조영술등을 시행하는데, 드루젠이나 맥락막신생혈관과 같은 망막의 혈관상태를 직접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진단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테스트
정상인으로 보이는 풍경
테스트
황반변성이 있는 눈으로 보이는 풍경
건성 황반변성은 드루젠의 존재 여부, 드루젠의 크기 및 개수 그리고 지도형 위축의 존재 여부와 침범범위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의 황반변성으로 구분합니다. 초기 건성 황반변성의 경우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가 우선이고, 적어도 1년에 한 번 안과에서 안저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기 건성 황반변성의 치료는 말기로 진행되는 시기를 늦추는 것이 목표로 AREDS 유형 식이 보충(루테인, 지아잔틴, 비타민 C, 비타민 E, 아연, 구리)을 통해 병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이미 습성 황반변성이 시작되었다면 시력 보존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신생혈관에 직접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법, 광역학치료 등이 있으며, 습성 황반변성의 1차 치료방법은 항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항체를 눈 속으로 주사하는 치료입니다. 루센티스, 아일리아, 아바스틴등의 눈 속 주사는 다른 치료법에 비해 탁월한 치료효과를 보이고 있는데, 많은 경우에 시력 유지가 가능하며 일부에서는 시력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약제의 종류와 환자의 약제에 대한 반응을 고려하여 4~8주 간격으로 주사를 반복하기로 하고, 주사치료를 멈추게 되거나 멈추었다가 재발하는 경우에 다시 치료를 시작하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치료와 관찰이 이루어지게 됩니다.